오피스텔 관리비
일반적으로 오피스텔 관리비는 아파트와 비슷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비비, 청소비, 수도 및 전기 요금, 공용시설 유지비, 유지보수비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오피스텔마다 항목과 비용 산정 방법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리사무소나 관리회사에 직접 문의하여 관리비 항목과 금액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오피스텔 거주자들은 정기적인 주주총회에서 관리비 사용내역을 검토하고 투표할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관리비 사용에 대한 투명성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오피스텔은 공동주택법을 적용받지 않기 때문에 아파트와는 달리 관리비 조회 시스템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오피스텔 관리비 조회는 해당 오피스텔의 관리사무소나 관리회사에 문의하여야 합니다.
한편, 아파트의 경우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을 통해 m2당 관리비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아파트의 관리비 항목과 금액을 상세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오피스텔 관리비 조회방법
오피스텔 관리비 조회방법은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예측은 가능할 수 있도록 조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공동주택 정보 관리시스템 접속한다.
- 관리비 – 우리단지관리비를 클릭한다.
- 법정동 또는 도로명을 입력하거나 내가 살고있거나 희망하는 단지를 조회한다.
- 근처 아파트를 검색한다.

위의 사진처럼 m^2당 공용관리비 및 개별사용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규모가 있는 아파트 단지를 검색하는 것보다 소규모 단지의 아파트를 찾는 것이 더 비슷하게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근처 공인중개사에 연락하는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공인중개사분들은 근처 오피스텔 및 단지의 관리비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소유주와의 컨택이 자주 있는 분들이기에 전화하는 방법을 더 추천드립니다.
최근 법개정 동향
하지만 이런 불리함이 임차인들에게 적용되면서 법개정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임대인들 입장에서도 더 환영할 수 있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공실인경우 부담해야하는 관리비에 대한 리스크도 존재하기 마련이니까요.